경영진은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설계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 때 테스트 방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본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의 효과성 평가 방법에는 질문 외에도 관찰, 문서검증, 재수행 등 4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평가자는 이러한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의 효과성에 대해 합리적인 확신을 얻을 수 있다. 아래에서 4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1. 질문
그 자체로는 통제 운영의 효과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거짓이나 잘못 답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관찰
통제활동이 수행되는 절차를 관찰해서 관련된 위험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는 질문보다 더 높은 수준의 확신을 제공해줄 수 있다.
3. 문서검사
통제활동의 결과가 문서화되는 경우, 해당 문서 검토를 수행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4. 재수행
통제 평가자가 직접 통제활동을 동일한 상황을 가정하고 다시 반복하여 직접 수행함으로써 통제활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질문, 관찰 등의 방법보다 높은 수준의 확신을 제공하기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평가 대상인 통제활동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예를들어 승인, 증빙대조, 연관된 보고서 간의 상호검증 등 문서 증거가 있는 통제활동에 대해서는 문서검사의 방법으로 통제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테스트의 범위는 표본조사 방법에 기반한 방식을 적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제활동의 빈도가 많을 수록 표본위험은 증가한다. 이때 통제활동의 운영평가 표본 개수도 당연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통제활동의 빈도가 같다하더라도 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위험이 높은 항목일 수록 표본의 범위가 더 올라갈 수가 있다.
테스트 수행시기에 대해 살펴본다. 통제테스트를 평가기준일에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기중에 식별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이나 미비점을 개선할 시간적 여유를 갖기 위해, 평가기간 중간에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를 중간평가라고 한다. 한편 기말평가 기준일 이전에 중간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중간평가의 결론이 기말평가 기준일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 사이 기간에도 추가적인 평가를 실시한다. 경영진은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절차 및 결과에 대해 문서화해야 한다. 운영의 효과성 평가 결과에 대한 문서화 수준은 독립적인 제 3자가 이를 이해하고 테스트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테스트 절차를 갖춰야 하고, 테스트 수행자, 테스트 결과, 전반적인 결론이 필요하다.
아래는 이러한 테스트를 마친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어떻게 정보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지에 대한 사례이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사례
중요한 취약점이 있을 경우,
'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20xx년 x월 x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취약점으로 인해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등의 의견을 받게 된다.
감사에 의한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의 사례
중대한 취약점이 있을 경우,
'본 감사(위원회)의 의견으로는, 20xx년 x월 x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취약점으로 인해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중대한 취약점이 없는 경우,
'본 감사(위원회)의 의견으로는, 20xx년 x월 x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등의 의견을 받게 된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감사] 2023년 외부감사 대상과 감사 중점사항 (0) | 2023.06.29 |
---|---|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기준과 감사보고서 (0) | 2023.06.17 |
내부회계관리제도 미비점과 테스트 (0) | 2023.06.15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문서화 (통제기술서 등) (0) | 2023.06.14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part 3 (양적요소와 질적요소) (2)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