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아이는 11월 21일 화요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34,700원으로 확정됐고, 경쟁률은 20 : 1을 기록했다. 같은 날 상장하는 동인기연은 4 :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두 회사 모두 경쟁률이 굉장히 낮다. 에코아이는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황은 어떤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에코아이는?
먼저 에코아이의 기업 개황이다.
회사명 | 주식회사 에코아이 |
영문명 | ECOEYE CO.,LTD. |
대표이사 | 이수복 |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1 11층(여의도동)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결산월 | 12월 |
주요사업 | 환경 관련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회사설립일 | 2005년 4월 7일 |
임직원수 | 46명 |
에코아이는 2005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업력은 18년이다. 에코아이의 주된 사업은 ① 온실가스감축사업과 ② 환경컨설팅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온실가스감축사업
온실가스 감축사업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 흡수 제거하는 사업이다. 에코아이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발급 받아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판매하고 있다. 에코아이가 발급받는 탄소배출권의 종류로는 CERs, KOC, i-KOC, VCS, VER이 있다.
에코아이는 주로 해외사업장에서 인증 및 전환된 탄소배출권인 i-KOC를 국내 할당대상 업체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판매 유형으로는 온실가스감축사업의 투자를 통한 탄소배출권이전, 선도계약, 장내외거래 등이 있다.
② 환경컨설팅
환경컨설팅사업은 배출권거래제 내 기업들에게 탄소배출권의 운용방안 및 정보플랫폼(Carbon-i) 서비스, 배출권거래제 대응을 위한 배출권 할당관리와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관련 환경규제대응 자문, 환경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제공 및 플랫폼 구축 서비스,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용역수수료를 받는 것이다.
재무상태표
에코아이의 3개년도 요약 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말 | 21년 말 | 22년 말 | |
자산 | 565억 | 652억 | 783억 |
부채 | 369억 | 373억 | 291억 |
자본 | 196억 | 379억 | 492억 |
에코아이의 22년 말 자산은 783억 원, 부채는 291억 원, 자본은 492억 원이다.
21년 말에 대비하여 자산은 20% 증가, 부채는 22% 감소, 자본은 76% 증가했다.
자산 = 부채 + 자본 으로 이뤄진다.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 22년에 자산의 증가는 자본의 증가로 이뤄져 있다. 자본 증가의 주된 원인은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의 증가이다.
자본잉여금의 증가는 주식을 발행하며 생긴 것이고, 이익잉여금의 증가는 회사의 경영 실적에 따라 쌓인 것이다.
탄소시장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국의 정부 및 민간부문의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탄소배출권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는 2019년 2,115억 달러에서 2027년 2조 4,078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 30.7%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여받은 기업 뿐만 아니라 자발적 감축 니즈를 보유한 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탄소배출권 수요 확대와 맞물려 탄소배출권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손익계산서
에코아이의 3개년도 요약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 21년 | 22년 | |
매출액 | 95억 | 269억 | 601억 |
매출원가 | 58억 | 142억 | 331억 |
매출총이익 | 37억 | 127억 | 270억 |
판매관리비 | 33억 | 26억 | 70억 |
영업이익 | 4억 | 101억 | 200억 |
에코아이의 22년 매출액은 601억 원이다. 21년도와 비교해 매출액은 332억 원 증가했고, 비율로 따지자면 123%의 증가율이다.
매출액의 증가율이 예사롭지 않다. 이는 탄소시장과 관련된 산업군이 아주 고성장의 시장이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대표이사는?
에코아이는 종합 탄소배출권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7년 전문 경영인을 영입했다. 이수복 대표이사는 LG투자증권, 삼성증권 및 CJ투자증권 채권팀장을 역임하고, 한국거래소 채권시장발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본시장에서의 전문성을 축적했다. 금융시장에서 정책과 시장활성화 업무를 수행하였던 경험과 역량을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발휘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고, 나아가 조직의 성장과 국가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겠다는 사명감으로 취임했다.
이수복 대표이사는 취임 이후, 국내외 CDM사업 진출을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시켰으며, 감축사업 시장의 높은 성장성을 파악하고 미얀마 현지법인 설립 등을 통해 해외감축사업을 선제적으로 확장시켰다. 향후 탄소중립 트렌드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배출권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신사업 확장을 위한 감축사업 영역 확대, 내부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시키려고 한다.
풍부한 자본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업에 대한 이해도, 사업확장 추진 능력 등을 미뤄볼 때 이수복 대표이사는 CEO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현금흐름표
에코아이의 22년 현금흐름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2년 | |
기초 현금 | 135억 |
영업활동 | -76억 |
투자활동 | -30억 |
재무활동 | 39억 |
기타 (환율효과 등) | 5억 |
기말 현금 | 73억 |
아래는 성격에 따라서 분류한 내용이다.
영업활동: 76억 원 현금 유출
-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현금의 유출이 발생했다.
투자활동: 30억 원 현금 유출
- 금융자산을 약 27억 원 취득하며 현금의 유출이 발생했다.
재무활동: 39억 원 현금 유입
- 주식을 발행하며 약 43억원의 현금이 유입된 것이 주된 원인이다.
기초의 현금은 135억 원, 기말의 현금은 73억 원으로 1년 동안 총 62억 원의 현금이 감소했다.
다양한 재무지표들
다음으로 에코아이의 여러 가지 지표들을 살펴본다.
첫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다.
21년과 22년의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은 매우 주목할 만 하다. 에코아이의 매출원가율은 약 55%라서 낮은 편은 아니다. 다만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가 약 10% 정도밖에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ROA와 ROE 이다.
ROA = 당기순이익 / 자산 으로 계산한다. 총 자산순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자산을 얼마큼 효율적으로 운영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ROA가 높을 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한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 으로 계산한다. 자기 자본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순수하게 기업의 자본만을 이용하여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ROA와 마찬가지로 높을 수록 좋다.
ROA = 내 돈과 남의 돈을 합쳐서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
ROE = 내 돈만으로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아래는 관련 시장의 ROA와 ROE이다. (단위: 억 원, %)
기업명 | 매출액 | ROA | ROE |
케이엔솔 | 3,888억 | 5.3% | 10.5% |
에코프로에이치엔 | 2,182억 | 20.7% | 43.4% |
자연과환경 | 739억 | 0.1% | 0.7% |
지앤비에스 에코 | 656억 | 18.8% | 23.0% |
에코아이 | 601억 | 19.8% | 31.6% |
관련 사업군 내에서도 상위의 포지션임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안정성 지표이다.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으로 계산한다. 100%를 넘지 않아야 안정적인데, 100%를 넘는다면 나중에 갚아야 할 돈이 가진 돈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에코아이는 22년 100%를 넘지 않는 비율을 보여준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로 계산한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유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돈을 쓰고 싶을 때 쓸 수 있다는 의미이다. 200%를 넘어야 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에코아이는 20년, 21년, 22년 연속 높은 유동비율을 보여준다.
네 번째로 성장성 지표이다.
총자산 성장률도 양호하지만, 매출액 성장률이 매우 주목할 만 하다. 모든 회사 중에서도 상위권의 매출액 성장률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번 포스팅의 모든 자료는 Dart의 에코아이 공시에서 발췌했습니다. 다른 기업 분석이 필요하거나 이 포스팅에서 오류, 궁금증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동인기연의 분석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77
[동인기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동인기연은 11월 21일 화요일, 코스피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30,000원으로 확정됐고, 청약경쟁률은 4 : 1을 기록했다. 상당히 낮은 경쟁률을 기록한 동인기연,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
forsein.tistory.com
11월 3~4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70
[공모주 일정] 23년 11월 3~4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
11월 3~4주, 2주 동안 총 4개의 기업 상장이 예정되어 있다. 어떤 기업들이 상장을 하고, 어떤 사업을 하는지 간단히 기록해보고자 한다. 먼저 11월 3~4주에 상장하는 기업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forsein.tistory.com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텀]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1.30 |
---|---|
[에이에스텍]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 정보 살펴보기 (2) | 2023.11.26 |
[동인기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1.20 |
[스톰테크]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4) | 2023.11.19 |
[비아이매트릭스]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