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에이에스텍]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 정보 살펴보기

by forsein 2023. 11. 26.
반응형

 에이에스텍은 11월 28일 화요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28,000원으로 확정됐고, 청약 경쟁률은 1,374 : 1 을 기록했다. 꽤 높은 경쟁률을 달성한 에이에스텍,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황은 어떤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에이에스텍 로고

 

1. 에이에스텍은?

 먼저 에이에스텍의 기업 개황이다.

회사명 (주)에이에스텍
영문명 AS Tech Co., Ltd.
대표이사 윤종배
본사 주소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산단7길 13
기업규모 중소기업
결산월 12월
주요사업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화학제품 제조업
회사설립일 2005년 3월 15일
임직원수 32명

 에이에스텍은 2005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업력은 18년이다. 에이에스텍의 주된 사업은 자외선 차단 원료의 생산이다.

 

 에이에스텍은 화장품 소재 시장에 속해있다. 화장품 산업의 구조는 ① 판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방산업과 ② 다양한 과학적 이론과 기술을 바탕으로 원료 등을 제공하는 후방산업으로 구성된다. 이 중 에이에스텍의 화장품 소재는 후방산업에 해당된다.

 

 화장품 소재산업은 기능성 식품, 의약품, 생명공학 관련 바이오산업, 유·무기 소재 관련 화학산업, 농수축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피부진단,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등의 신기술 적용으로 확대가 가능한 산업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최근 기후변화 및 안티에이징 트렌드에 맞추어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다.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피부암과 관련된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계는 피부암 예방을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적극적인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안티에이징에 관한 다수의 기능성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기존 안티에이징 화장품류는 주름 개선, 탄력 향상 위주로 출시되었으나, 최근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까지 추가하여 출시되고 있다.

 

 글로벌 화장품 시장은 2020년 3,411억달러(456조원)에서 연평균 성장률 5.1%로 증가하여, 2030년 5,605억 달러(749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및 전망
전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및 전망

 

 에이에스텍의 주요 전방 시장은 화장품 완제품 중에서도 자외선 차단제 시장이다. 자외선 차단 소재 시장은 2027년 176억달러(24조원)로 연평균 성장률 7.5%로 전망하는 고성장 시장이다.

자외선 차단제 시장 규모 및 전망
자외선 차단제 시장 규모 및 전망

 

2. 재무상태표

 에이에스텍의 3개년도 요약 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말 21년 말 22년 말
자산 167억 318억 348억
부채 153억 299억 310억
자본 14억 19억 38억

 에이에스텍의 22년 말 자산은 348억 원, 부채는 310억 원, 자본은 38억 원이다.

 21년 말에 대비하여 자산은 9% 증가, 부채는 4% 증가, 자본은 95% 증가했다.

 

자산, 부채, 자본 추세

 자산 = 부채 + 자본 으로 이뤄진다. 현재 에이에스텍의 자산은 대부분 부채로 이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것은 차입금이다. 차입금 비중이 높기에, 대출을 상환하는 것이 회사의 우선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3. 시장 경쟁 상황은?

 현재 국내 자외선 차단제의 유기 자외선 차단 원료 시장은 100% 해외 의존적인 시장이다. 특정 해외 업체들의 독과점이 심화되다 보니 원료 공급가는 경쟁에 의한 합리적인 가격 책정이 아닌 공급사가 정하는 원료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게 될 경우 공급 부족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급사가 배분하는 방식에 따라 제조사는 원료를 수급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국내 화장품 업체, 특히 중소규모 업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료들의 생산 제조를 위한 기술 장벽은 의외로 높지 않다. 국내에도 유기합성을 전문적으로 다수의 기업들이 존재하나 이들은 모두 원료의약품 내지는 전자소재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에이에스텍는 설립초기 원료의약품 산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합성 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당시에 얻어진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외선 차단제 원료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였기 때문에 개발되는 원료마다 국내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제 원료 공급업체 글로벌 업체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다수 기업(콜마, 코스맥스 등)에서 에이에스텍의 제품 사용 비중을 확대해 나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로 수출하며 전 세계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4. 손익계산서

 에이에스텍의 3개년도 요약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21년 22년
매출액 89억 146억 321억
매출원가 70억 117억 246억
매출총이익 19억 29억 75억
판매관리비 16억 22억 30억
영업이익 3억 7억 45억

 에이에스텍의 22년 매출액은 321억 원이다. 21년도와 비교해 매출액은 175억 원이 증가했고, 비율로 따지자면 120%의 증가이다.

매출액, 영업이익 추세

 21년과 비교해 2배 이상의 매출을 올렸음을 알 수 있다. 영업이익 또한 꾸준히 플러스를 내주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때문에 힘들었을 외부 환경을 잘 이겨냈다는 의미이다.

 

5. 대표이사는?

 윤종배 대표이사는 단국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약 10여년 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건일제약 및 안국약품 중앙연구소에서 연구원 소속으로 근무하며 유기합성 및 신약개발의 연구개발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에이에스텍은 2005년에 의약품 개발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제약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에 윤종배 대표이사가 인수했다.

 윤종배 대표이사는 총 28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에이에스텍의 연구소장을 겸직하여 주도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하고 있다. 에이에스텍의 핵심 연구개발인력은 주로 제약회사 연구개발 경력을 가진 인원으로 다수 구성했으며, 의약품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를 화장품 원료 분야에 접목하여 화장품 원료 개발 분야로 확장하게 됐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이 독점 생산하던 원료를 에이에스텍의 원천기술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윤종배 대표이사의 자질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6. 현금흐름표

 에이에스텍의 22년 현금흐름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2년
기초 현금 10억
영업활동 -27억
투자활동 7억
재무활동 12억
기말 현금 (22년 말) 2억

 아래는 성격에 따라서 분류한 내용이다.

 

영업활동: 27억 원 현금 유출

 -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현금의 유출이 발생했다.

 

투자활동: 7억 원 현금 유입

 - 정부보조금의 수령이 가장 큰 원인이다.

 

재무활동: 12억 원 현금 유입

 - 전환상환우선주부채의 증가가 주된 요인이다.

 

 기초의 현금은 10억 원, 기말의 현금은 2억 원으로 1년 동안 총 8억 원의 현금이 감소했다.

 

7. 다양한 재무지표들

 다음으로 에이에스텍의 여러 가지 지표들을 살펴보겠다.

 첫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영업이익률당기순이익률이다.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

  에이에스텍의 21년 매출원가율은 80%, 22년 매출원가율은 76%이다. 매출원가율의 개선이 이뤄지며 영업이익률도 소폭 증가했다. 또한 3년 연속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인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두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ROAROE 이다.

ROA, ROE

 ROA = 당기순이익 / 자산 으로 계산한다. 총 자산순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자산을 얼마큼 효율적으로 운영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ROA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한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 으로 계산한다. 자기 자본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순수하게 기업의 자본만을 이용하여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ROA와 마찬가지로 높을수록 좋다.

 

 ROA = 내 돈과 남의 돈을 합쳐서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

 ROE = 내 돈만으로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아래는 관련 시장의 ROA와 ROE이다. (단위: 억 원, %)

기업명 매출액 ROA ROE
현대바이오랜드 992억 2.7% 3.7%
대봉엘에스 935억 6.8% 7.6%
선진뷰티사이언스 643억 16.5% 35.4%
에이에스텍 321억 5.3% 48.0%
엔에프씨 315억 2.6% 3.3%

 ROA 수치는 낮지만, ROE 수치는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ROE는 분모에 자본금액이 들어가는데 에이에스텍의 자본금액이 적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감안한다면, 산업군내에서 평균 정도의 위치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로 안정성 지표이다.

부채비율, 유동비율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으로 계산한다. 100%를 넘지 않아야 안정적이라고 말하는데, 100%를 넘는다면 나중에 갚아야 할 돈이 가진 돈 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에이에스텍은 최근 3년 연속 굉장히 높은 부채비율을 보여준다. 자산의 대부분이 부채로 구성되어 있기에 그렇다. 나중에 갚아야 할 돈이 굉장히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로 계산한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유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돈을 쓰고 싶을 때 적시에 쓸 수 있음을 말한다. 200%를 넘어야 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본다. 에이에스텍은 20년에만 200%를 넘었고, 21년, 22년은 점점 낮아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네 번째로 성장성 지표이다.

매출액, 총자산 성장률

 안정성 지표에서는 안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성장성 지표에서는 그나마 나은 모습을 보여준다. 매출액은 매년 고성장을 하고 있다. 지금만큼의 경영실적을 유지한다면 앞으로 더 큰 회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이번 포스팅의 모든 자료는 Dart의 에이에스텍 공시에서 발췌했습니다. 다른 기업 분석이 필요하거나 이 포스팅에서 오류, 궁금증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동인기연의 분석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77

 

[동인기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동인기연은 11월 21일 화요일, 코스피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30,000원으로 확정됐고, 청약경쟁률은 4 : 1을 기록했다. 상당히 낮은 경쟁률을 기록한 동인기연,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

forsein.tistory.com

 

에코아이의 분석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78

 

[에코아이] 어떤 기업인가? 에코아이 상장 정보, 분석

에코아이는 11월 21일 화요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34,700원으로 확정됐고, 경쟁률은 20 : 1을 기록했다. 같은 날 상장하는 동인기연은 4 :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두 회사

forsei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