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part 2 (평가의 준거기준)

by forsein 2023. 6. 12.
반응형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를 할 때 판단의 준거기준은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시 판단 기준은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및 보고 모범규준이다. 따라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대상에는 회사가 선택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개념체계에서 제시된 각 통제 구성요소별 원치과 평가 대상회사의 중점 고려사항에 대한 전사적 수준의 통제와 외감법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된다. 각 통제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통제환경이다.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 목적달성을 위한 통제환경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1. 내부회계관리조직과 규정을 정비한다.

2. 외부재무조고와 연관되는 임직원의 권한 및 책임을 제시한다.

3. 적격한 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을 설정한다.

4. 통제활동이 설계 및 운영되는지 확인한다.

5. 윤리, 행동강령의 운영

6. 내부고발제도 및 감사(위원회)의 관리감독 기능을 포함한다.

 

 두 번째로 위험평가이다.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 목적달성을 위한 위험평가는 아래와 같다.

1. 회사의 통제환경과 주요 변화사항을 고려한다.

2. 재무제표의 주요계정과 주석 사항 등 업무 관련 프로세스에 대한 위험 평가 수행절차를 확인한다.

3. 통제활동이 설계, 운영되는지 확인한다.

4. 부정발생위험의 평가를 포함한다.

 

 세 번째로 통제활동이다.

1. 평가된 위험에 근거하여 경영진이 통제활동을 설계할 수 있는 체계를 유지, 운영한다.

2. 연계된 정책 및 절차가 잘 관리되는지 확인한다.

3. 재무보고와 연관된 정보기술 일반통제활동을 확인한다.

 

반응형

 

 네 번째로 정보 및 의사소통이다.

1. 임직원의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확인한다.

2. 내, 외부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체계를 확인한다.

3. 통제활동 설계와 운영을 확인한다.

 

 다섯 번째로 모니터링 활동이다.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 여부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체계를 수립하여 적용한다.

2. 미비점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3. 평가 결과와 미비점에 대한 개선 계획이 포함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를 확인한다.

4. 감사(위원회)의 독립적인 평가가 이뤄졌는지 확인한다.

 

 각 통제 구성요소가 기능하기 위해서 회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서 제시하는 17가지 원칙을 준수해야한다. 또한 17가지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회사의 고유의 특성을 감안한 회사 고유의 중점고려사항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각 원칙별로 문서화된 회사의 중점 고려사항과 적용기법을 확인한다. 각 원칙의 주요 항목별 평가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정책 및 절차가 존재하고 원칙과 중점고려사항에 부합하는 지 평가한다.

2. 해당 절차가 잘 지켜질 수 있는 통제가 파악되서 통제기술서에 문서화되어 있는지 평가한다.

3. 해당 통제의 설계와 운영은 적절한 것인지 평가한다.

4. 회사는 외감법을 포함한 관련 법규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관련하여 요구하고 있는 항목의 준수가 이뤄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