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디에스단석의 재무지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재무지표의 분석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재무분석의 분류 | 내용 | 세부분류 |
1. 안정성 비율 |
안정적으로 경영관리활동을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부채지급능력과 재무구조를 보여주는 지표) |
① 유동비율 |
② 자기자본비율 | ||
③ 부채비율 | ||
④ 차입금 의존도 | ||
⑤ 현금 보유율 | ||
2. 성장성 비율 | 지속적으로 사업규모가 확대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재무제표상 매출액과 자산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 |
① 매출액 증가율 |
② 총자산 증가율 | ||
③ 순이익 증가율 | ||
3. 수익성 비율 | 사업을 통해 이익을 낼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투자에 대한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표) |
① 영업이익율 |
② 당기순이익율 | ||
③ ROA | ||
④ ROE |
위의 분석틀에 맞춰 디에스단석의 재무지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0. 기본 분석
① 재무상태표
- 자산 = 부채 + 자본으로 이뤄진다.
- 단위: 억 원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자산 | 3,410억 | 3,785억 | 3,679억 | 5,067억 | 5,655억 |
부채 | 2,234억 | 2,541억 | 2,359억 | 3,242억 | 4,258억 |
자본 | 1,176억 | 1,244억 | 1,320억 | 1,825억 | 1,397억 |
② 손익계산서
- 단위: 억 원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5,913억 | 5,922억 | 5,993억 | 9,013억 | 1조 1,337억 |
매출원가 | 5,530억 | 5,485억 | 5,403억 | 7,858억 | 1조 0,173억 |
매출총이익 | 383억 | 437억 | 590억 | 1154억 | 1,164억 |
판매관리비 | 284억 | 299억 | 342억 | 431억 | 424억 |
영업이익 | 99억 | 137억 | 248억 | 723억 | 739억 |
1. 안정성 비율
① 유동비율
- 단기채무에 대하여 이를 상환하기 위한 유동자산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 (유동자산 / 유동부채)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71.3% | 70.7% | 68.5% | 104.4% | 95.4% |
② 자기자본비율
- 기업의 총자산 중에서 소유주의 몫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재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 (자본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34.5% | 32.9% | 35.9% | 36.0% | 24.7% |
③ 부채비율
- 기업의 자본에 대한 부채의 상대적 크기로 기업의 재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 (부채 / 자본)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89.9% | 204.3% | 178.7% | 177.6% | 304.7% |
④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대비 자산의 크기로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를 나타내는 지표
- (총차입금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04.0% | 47.4% | 40.2% | 34.4% | 44.9% |
⑤ 현금 보유율
- 자산 대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보유율을 나타내는 지표
- (현금및현금성자산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0.8% | 0.7% | 0.9% | 1.7% | 2.3% |
2. 성장성 비율
① 매출액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매출액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매출액 - 전년도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0.5% | 0.1% | 1.2% | 50.4% | 25.8% |
② 총자산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총자산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총자산 - 전년도 총자산) / 전년도 총자산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5.3% | 11.0% | -2.8% | 37.7% | 11.6% |
③ 순이익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당기순이익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당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68.4% | -48.6% | 192.5% | 383.9% | -26.4% |
3. 수익성 비율
① 영업이익율
-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7% | 2.3% | 4.1% | 8.0% | 6.5% |
② 당기순이익율
- (당기순이익 / 매출액)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0.9% | 0.4% | 1.3% | 4.1% | 2.4% |
③ ROA
-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 (당기순이익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5% | 0.7% | 2.1% | 7.3% | 4.8% |
④ ROE
- 순수 자기 자본(현금)을 이용하여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지표
- (당기순이익 / 자본)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4.3% | 2.1% | 5.8% | 20.2% | 19.5% |
'재무지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지표] 한국타이어 5개년도 재무 분석 (0) | 2023.12.08 |
---|---|
[재무지표] 한온시스템 5개년도 재무 분석 (2) | 2023.12.07 |
[재무지표] 현대모비스 5개년도 재무 분석 (1) | 2023.12.06 |
[재무지표] 현대자동차 5개년도 재무 분석 (2) | 2023.12.06 |
[재무지표] 삼성전자 5개년도 재무 분석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