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성요소: 통제환경

by forsein 2023. 6. 1.
반응형

 내부회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서는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 및 운영할 수 있도록 5가지 구성요별로 17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통제환경 (원칙 1~5) 두 번째로 위험평가 (원칙 6~9) 세 번째로 통제활동 (원칙 10~12) 네 번째로 정보 및 의사소통 (원칙 13~15) 다섯 번째로 모니터링 활동 (원칙 16~17) 이 있다. 이번에는 이 중에서 첫 번째인 통제환경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한다.

 

 통제환경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기반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통제환경은 도덕적, 윤리적 가치에 대한 태도를 기반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조직의 책임을 명확하게 한다. 또한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 체계의 구성이나 교육을 포함한 인력 운용 및 성과평가와의 연계가 이뤄질 수 있는 체계를 포함하고 있다. 통제환경의 원칙은 5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반응형

 

원칙1: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에 대한 책임

 첫 번째 원칙 달성을 위한 중점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경영진과 이사회의 의지: 경영진과 이사회는 내부회계관리제도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침, 조치, 행동을 통해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임직원들에게 강조해야 한다.

 2) 윤리강령 수립: 회사의 윤리강령은 도덕성과 윤리적 가치에 대한 이사회와 고위 경영진의 기대사항을 반영하고 회사의 모든 임직원, 외부서비스제공자 및 협력업체가 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3) 윤리강령 준수평가: 윤리강령 준수에 대해서 개인과 팀의 성과를 평가하는 프로세스가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4) 윤리강령 위반사항의 적시 처리: 윤리강령 위반사항은 적시에 일관된 방식으로 식별 개선되어야 한다.

 

원칙2: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독 책임

 이사회는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해야 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와 운영을 감독해야 한다. 이 경우 설계와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운영실태보고체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체계의 책임은 대표자에게 있다. 대표자와 대표자가 선임한 내부회계관리자는 운영의 주체로서 매년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에 관한 실태를 보고해야 한다. 그 보고 대상은 감독 책임을 지고 있는 이사회, 또는 감사를 해야하는 감사(이사회)이다. 두 번째 원칙 달성을 위한 중점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이사회 감독 책임 정립: 먼저 이사회는 감독 책임을 인지하고 수용해야 한다. 이사회는 외감법 등 법률에서 정하는 사항과 내부회계관리제도, 내부감사, 부정방지 프로그램 등의 감독 책임을 감사(위원회)에 위임할 수도 있다.
 2) 이사회의 독립적 운영: 이사회는 이사회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기술과 전문지식을 정의하고 유지하며 평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사회 구성원들이 고위 경영진에게 면밀한 질문을 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실시할 수 있게 해야한다. 또한 이사회는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객관성을 갖춘 인력을 보유해야 한다.
 3)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독: 이사회는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와 구축, 운영에 대해 감독 책임을 갖는다.

원칙3: 조직구조, 권한 및 책임 정립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사회 감독을 포함한 조직 구조, 보고 체계 및 적절한 권한과 책임을 정립해야 한다. 세 번째 원칙 달성을 위한 중점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조직구조 고려: 경영진과 이사회는 회사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조직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고려해야 하는 대상에는 운영단위, 법적 실체, 지역적 분포, 외부서비스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2) 보고체계 수립: 경영진은 각각의 조직이 권한과 책임을 이행하고 정보 교류가 가능하게끔 보고체계를 설계하고 평가해야 한다.

 3) 권한과 책임의 정의, 부여, 제한: 경영진과 이사회는 권한을 위임하고 책임을 정의하며 적절한 프로세스와 기술을 활용해서 조직의 다양한 수준의 필요성에 따라 책임을 부여하고 업무를 분장해야 한다. 또한 경영진은 고위 경영진의 지침과 통제가 회사 및 하위 조직 내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실무지침을 제시하고 지원해야 한다. 이에 직원은 윤리강령, 위험요소, 조직 각 계층의 통제활동, 정보 및 의사소통 흐름,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원칙4: 적격성 유지

 회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목적에 부합하는 적격성 있는 인력을 선발하고 육성하고 관리해야 한다. 네 번째 원칙 달성을 위한 중점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적격성 평가 및 보완: 경영진과 이사회는 정책 및 실무절차에 의거해서 조직 구성원 및 외부서비스 제공자의 적격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 파악된 미비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2) 인력 선발, 육성, 유지: 회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목적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충분하고 적격성 있는 인력 및 외부서비스 제공자를 선발, 육성, 유지하는데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해야 한다.

 

원칙5: 내부회계관리제도 책임부여

 회사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다섯 번째 원칙 달성을 위한 중점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조직구조, 권한 및 책임을 통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책임 부여: 경영진과 이사회는 조직 전체 구성원들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수행에 관한 책임에 대해서 의사소통을 하고 그들에게 책임을 부여하며, 필요한 경우 개선활동을 이행할 수 있도록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2) 성과평가 및 보상정책 수립: 경영진과 이사회는 장단기 목적 달성의 균형을 고려하고 조직 전체 구성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책임 이행에 적합한 성과평가와 보상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3) 성과평가 및 보상정책과의 연계: 경영진과 이사회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책임 이행과 그에 따른 그에 따른 성과평가 및 보상을 서로 연계시켜야 한다.

 4) 개인의 성과평가 보상, 징계 조치: 경영진과 이사회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책임 이행에 대한 성과평가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상하거나 필요 시 징계조치를 취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