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릿은 10월 18일 수요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10,700원으로 확정됐고, 청약경쟁률은 1415.76 : 1을 기록했다.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코스닥 시장 상장을 하는 퓨릿,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황은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퓨릿의 기업 개황이다.
회사명 | 주식회사 퓨릿 |
영문명 | PURIT CO., LTD. |
대표이사 | 문재웅 |
본사 주소 | 경북 경주시 안강읍 두류길 249-278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결산월 | 12월 |
주요사업 | 석탄화학계 화합물 및 기타 기초 유기화학 물질 제조업 |
회사설립일 | 2010년 1월 20일 |
임직원수 | 98명 |
퓨릿은 2010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업력은 13년이다. 업력 자체가 길진 않지만, 최근에 보여주는 기업의 성장률은 놀랍다고 할 수 있다.
퓨릿은 산업용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용제 회수 및 이를 정제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정제된 원재료를 합성하여 일반 산업용 뿐만 아니라 전자급(반도체, 디스플레이)의 케미컬 제품을 판매한다.
전자급 케미컬 제품은 첨단소재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반도체, 집적회로(IC), 인쇄회로기판(PCB)의 세정, 에칭, 연마 등 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은 크게 ① 반도체 시장 ② 디스플레이 시장 ③ 산업용 케미컬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① 반도체 시장
전자화학 및 전자재료가 사용되는 반도체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또한 반도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초고순도의 가스 및 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 중 노광 공정은 빛을 사용하여 웨이퍼 위로 회로 패턴을 그려 넣는 과정이다. 퓨릿은 노광 공정에서 발생하는 감광물질(포토레지스트)을 제거하는 신너의 주요 원재료를 생산한다.
② 디스플레이 시장
퓨릿은 LCD 제조 공정 중 핵심공정인 셀 공정과 관련된 배향막의 세정제의 원재료를 생산하고 있다. 관련 제품은 최종 수요자인 LG디스플레이의 LCD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③ 산업용 케미컬 시장
퓨릿은 초고순도의 반도체용 및 디스플레이용 케미컬 외에 저 순도의 일반 산업용 케미컬을 생산하고 있다. 주로 페인트, 도료 등에 사용되어지는 일반적인 산업용 케미컬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원순환(Recycle) 정제 기술을 이용하여 폐액을 신액과 동일한 품질로 재생산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퓨릿의 3개년도 요약 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말 | 21년 말 | 22년 말 | |
자산 | 440억 | 567억 | 646억 |
부채 | 251억 | 305억 | 259억 |
자본 | 189억 | 262억 | 387억 |
퓨릿의 22년 말 자산은 646억 원, 부채는 259억 원, 자본은 387억 원이다.
21년 말에 대비하여 자산은 14% 증가, 부채는 15% 감소, 자본은 47% 증가했다.
자산 = 부채 + 자본 으로 이뤄진다.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 부채의 감소와 자본의 증가가 자산의 증가로 이어졌다. 자본 증가의 주된 원인은 이익잉여금의 증가이다. 즉, 회사의 영업실적이 좋아 자본이 많이 쌓였다는 의미이다. 경영을 굉장히 잘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퓨릿의 3개년도 요약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0년 | 21년 | 22년 | |
매출액 | 689억 | 1,066억 | 1,373억 |
매출원가 | 613억 | 929억 | 1,154억 |
매출총이익 | 76억 | 137억 | 219억 |
판매관리비 | 26억 | 37억 | 76억 |
영업이익 | 50억 | 100억 | 143억 |
퓨릿의 22년도 매출액은 1,373억 원이다. 21년도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307억 원이 증가했고, 비율로 따지자면 29%의 성장률을 보여준다. 또한 영업이익도 매년 꾸준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매출원가율이 약 85%에 육박하지만, 낮은 판매관리비율로 인해 영업이익이 나는 상태이다.
전형적인 제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라고 보인다. 특히 매출원가가 높은 산업군일수록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다면, 영업이익의 절대 금액도 더 커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원재료의 가격이 상승하는 등, 원가에 악영향이 있는 이슈가 있다면 현재의 영업이익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퓨릿의 주요 사업은 전자재료용 케미컬과 자원순환형 케미컬을 합성 및 정제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전자재료용 케미컬은 기존 석유화학산업의 일반적인 산업용 품질 수준과는 다른, 고순도 영역의 품질을 추구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품질기반의 사업이다.
퓨릿의 주요 고객으로는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LG 디스플레이, 동진세미켐,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동우화인켐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객사로부터 전자산업용 재료의 Resourcing 분야에서 제품의 품질과 품질관리능력 측면에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전자산업용 특성에 따른 다양한 분석항목과 초미세 함량의 불순물을 측정하고 공정에서 관리하는 퓨릿의 기술은 기존의 산업용 정제시설과는 차별화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퓨릿의 대표인 문재웅 대표이사는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출신으로 한국알콜산업 연구소에서 7년, 이엔에프테크놀로지에서 연구팀장으로 13년, 한국알콜산업에서 연구소장으로 7년을 수행하며 충분한 전문성 및 자질을 보유했다고 보인다.
문재웅 대표이사는 한국알콜산업 및 이엔에프테크놀로지에서 에틸아민 양산 공정 증설, 전자재료 세정제 개발, 반도체용 고순도 불산 식각액 개발 및 이차전지양극활전구체 개발 등을 주도하여 해당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특허 달성과 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했고, 이러한 능력을 인정받아 2022년 퓨릿의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퓨릿의 22년 현금흐름표는 아래와 같다. (단위: 억 원)
22년 | |
기초 현금 | 86억 |
영업활동 | 175억 |
투자활동 | -76억 |
재무활동 | -87억 |
기타 (환율변동 등) | -1억 |
기말 현금 | 97억 |
아래는 성격에 따라서 분류한 내용이다.
영업활동: 175억 원 현금 유입
-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산업용 케미컬 제품 판매)을 통해 현금의 유입이 발생했다.
투자활동: 76억 원의 현금 유출
- 건설중인자산(추후 회사의 유, 무형자산이 되는 자산)의 취득을 위해 68억 원의 현금이 유출된 것이 주된 원인이다.
재무활동: 87억 원의 현금 유출
- 단기차입금을 상환한 것이 현금이 유출된 주된 원인이다.
기초의 현금은 86억 원, 기말의 현금은 97억 원으로 1년 동안 총 11억 원의 현금이 증가했다.
다음으로 퓨릿의 여러 가지 지표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첫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다.
3개년도 수익성은 좋은 편에 속한다. 특히 해가 지날수록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현재와 같은 수익성을 유지한다면 사업 역시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수익성 지표 중, ROA와 ROE이다.
ROA = 당기순이익 / 자산 으로 계산한다. 총 자산순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ROA가 높은 기업일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한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 으로 계산한다. 자기 자본이익률이라고 부르며, 순수하게 기업의 자본만을 이용하여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ROA와 마찬가지로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다.
쉽게 말해
ROA = 내 돈과 남의 돈을 합쳐서 수익성이 얼마나 좋은지
ROE = 내 돈만으로 수익성이 얼만큼 좋은지
알려주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는 2022년 화학 산업군의 ROA와 ROE이다. (단위: 억 원, %)
매출액 | ROA | ROE | |
롯데케미칼 | 222,761억 | 0.11% | 0.43% |
애경케미칼 | 21,764억 | 4.79% | 8.47% |
SK케미칼 | 18,292억 | 5.86% | 9.11% |
한국알콜 | 5,127억 | 5.88% | 6.96% |
그린케미칼 | 3,249억 | 1.41% | 2.34% |
퓨릿 | 1,373억 | 17.9% | 29.8% |
영보화학 | 830억 | 3.71% | 4.27% |
태경케미컬 | 596억 | 5.32% | 6.16% |
이화산업 | 586억 | -0.1% | 0.04% |
많은 화학 관련 업체 중에서도 퓨릿의 수익성은 압도적으로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안정성 지표이다.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으로 계산한다. 100%를 넘지 않아야 안정적인데, 그 이유는 100%를 넘는다면 나중에 갚아야 할 돈이 가진 돈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퓨릿은 20년, 21년에는 100%를 넘으며 부채가 자본보다 컸지만, 22년에는 67.1%로 안정된 부채비율을 보여준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로 계산한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유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돈을 쓰고 싶을 때 적시에 쓸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00%를 넘어야 기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퓨릿은 유동비율이 200%에는 못 미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네 번째로 성장성 지표이다.
매출액과 총자산 모두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추후 시장에서 더 나은 경영성과와 실적을 보여준다면, 매출액과 총자산은 자연스레 성장할 것이다.
이와 별개로, 퓨릿이 직면하고 있는 위험요소들도 존재한다. 아래는 그 위험요소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 내용이다.
1. 반도체 시장의 성장 둔화
퓨릿은 반도체용 케미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주요 고객사는 반도체 제품을 만드는 삼성전자, SK 하이닉스이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빅데이터, IoT, 인공지능의 발전 및 자율주행차 등 신규 산업의 등장으로 반도체의 수요는 필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퓨릿의 주된 산업은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소재 글로벌 시장은 2026년까지 연평균 10.2%의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시장은 2026년까지 연평균 7.5%의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긍정적 전망과 달리, 반도체 수요의 주를 이루는 서버, PC, 모바일 부문의 반도체 수요 중 어느 하나의 수요 증가가 둔화된다면 퓨릿의 경영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자원재활용 시장 둔화
퓨릿은 증류탑을 이용하여 원재료를 정제 후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정제 방식과는 달리 공장에서 사용된 후 폐기물 형태로 배출되는 폐액으로부터 유효한 원료를 신액 수준으로 재생산하고 신액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사업이다. 이러한 자원순환 사업은 환경오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 등,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러한 폐기물 재활용 사업부문은 정부의 인허가 규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정부의 인허가 규제 및 영업과 경쟁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시장 확대 및 설비 투자가 지연될 경우, 퓨릿의 경영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의 모든 자료는 Dart의 퓨릿 공시에서 발췌했습니다. 다른 기업 분석이 필요하거나 이 포스팅에서 오류, 궁금증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아이엠티의 분석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54
[아이엠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아이엠티는 10월 10일 화요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14,000원이고, 공모주 청약 경쟁률은 495.59:1을 기록했다. 어떤 사업을 하고, 재무상황은 어떤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forsein.tistory.com
두산로보틱스의 분석이 궁금하다면?
https://forsein.tistory.com/53
[두산로보틱스] 어떤 기업인가? 주요 사업과 재무제표 분석
두산로보틱스는 10월 5일 목요일, 코스피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공모가는 26,000원으로 확정된 상태이다. 올해 상장한 기업 중 가장 흥행에 성공했고, 상장 이후에도 뜨거운 관심을 모을 것으
forsein.tistory.com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엘에스바이오]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0.19 |
---|---|
[신성에스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0.18 |
[아이엠티] 어떤 기업인가? 상장 대비해서 정보 살펴보기 (2) | 2023.10.09 |
[두산로보틱스] 어떤 기업인가? 주요 사업과 재무제표 분석 (0) | 2023.10.04 |
[한싹] 어떤 기업인가? 주요 사업과 재무제표 분석 (2) | 202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