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지표] 현대자동차 5개년도 재무 분석
오늘은 현대자동차의 재무지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현대자동차 22년 394만대의 판매 실적을 바탕으로 연결기준 차량부문에서 113.7조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 및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국내 판매가 다소 감소했지만 미국, 유럽 및 신흥시장 등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현대차의 주력 차종 및 신차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가 이어지며 해외 판매는 늘었다.
재무지표의 분석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재무분석의 분류 | 내용 | 세부분류 |
1. 안정성 비율 | 안정적으로 경영관리활동을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부채지급능력과 재무구조를 보여주는 지표) |
① 유동비율 |
② 자기자본비율 | ||
③ 부채비율 | ||
④ 차입금 의존도 | ||
2. 성장성 비율 | 지속적으로 사업규모가 확대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재무제표상 매출액과 자산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 |
① 매출액 증가율 |
② 총자산 증가율 | ||
③ 순이익 증가율 | ||
3. 수익성 비율 | 사업을 통해 이익을 낼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투자에 대한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표) |
① 영업이익율 |
② 당기순이익율 | ||
③ ROA | ||
④ ROE |
위의 분석틀에 맞춰 현대자동차의 재무지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0. 기본 분석
① 재무상태표
- 자산 = 부채 + 자본으로 이뤄진다.
- 단위: 백만원 (예를 들어 아래의 2018년 자산은 180조 6,557억 원이다.)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자산 | 180,655,752 | 194,512,220 | 209,344,212 | 233,946,415 | 255,742,462 |
부채 | 106,759,742 | 118,146,466 | 133,003,242 | 151,330,626 | 164,845,917 |
자본 | 73,896,010 | 76,365,754 | 76,340,970 | 82,615,789 | 90,896,545 |
② 손익계산서
- 단위: 백만원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96,812,609 | 105,746,422 | 103,997,601 | 117,610,626 | 142,527,535 |
매출원가 | 81,670,479 | 88,091,409 | 85,515,931 | 95,680,131 | 114,209,483 |
매출총이익 | 15,142,130 | 17,655,013 | 18,481,670 | 21,930,495 | 28,318,052 |
판매관리비 | 12,719,965 | 14,049,508 | 16,086,999 | 15,251,546 | 18,498,283 |
영업이익 | 2,422,165 | 3,605,505 | 2,394,671 | 6,678,949 | 9,819,769 |
1. 안정성 비율
① 유동비율
- 단기채무에 대하여 이를 상환하기 위한 유동자산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 (유동자산 / 유동부채)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48% | 143% | 141% | 138% | 130% |
② 자기자본비율
- 기업의 총자산 중에서 소유주의 몫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재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 (자본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41% | 39% | 36% | 35% | 36% |
③ 부채비율
- 기업의 자본에 대한 부채의 상대적 크기로 기업의 재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 (부채 / 자본)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44% | 155% | 174% | 183% | 181% |
④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대비 자산의 크기로 기업의 차입금 의존도를 나타내는 지표
- (총차입금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2% | 12% | 13% | 10% | 9% |
2. 성장성 비율
① 매출액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매출액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매출액 - 전년도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0% | 9% | -2% | 13% | 21% |
② 총자산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총자산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총자산 - 전년도 총자산) / 전년도 총자산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 | 8% | 8% | 12% | 9% |
③ 순이익 증가율
- 전년도에 비하여 올해의 당기순이익이 어느정도 증가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올해 당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 ×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64% | 94% | -40% | 196% | 40% |
3. 수익성 비율
① 영업이익율
-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3% | 3% | 2% | 6% | 7% |
② 당기순이익율
- (당기순이익 / 매출액)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 | 3% | 2% | 5% | 6% |
③ ROA
-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 (당기순이익 / 자산)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1% | 2% | 1% | 2% | 3% |
④ ROE
- 순수 자기 자본(현금)을 이용하여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지표
- (당기순이익 / 자본) x 100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 | 4% | 3% | 7% | 9% |